규방공예8 [규방공예 작품] 조각보 규방공예 작품 / 전통 조각 보자기 보자기 겹보 sosohands.tistory.com 소소핸즈스토리 2023. 1. 11. [규방공예 작품] 모시 조각 컵받침(티매트) 규방공예 작품 / 모시 조각 컵받침 (티매트, 티코스터) 전통장식 / 잣씨장식, 술장식 sosohands.tistory.com 소소핸즈스토리 2023. 1. 10. [규방공예 작품] 잣씨장식 모시 컵받침 (티코스터) 규방공예 작품 / 잣씨장식 모시 컵받침(티매트, 티코스터) 전통장식 / 잣씨장식, 박쥐장식, 술장식 sosohands.tistory.com 소소핸즈스토리 2023. 1. 9. [규방공예 작품] 모시 사각 바늘방석 규방공예 작품 / 모시 사각 바늘방석 (핀쿠션) 전통 장식/ 박쥐 장식과 술 sosohands.tistory.com 소소핸즈스토리 2023. 1. 8. [규방공예 작품] 술 장식 모시바늘방석 규방공예 작품 / 술 장식 모시 바늘방석 sosohands.tistory.com 소소핸즈스토리 2023. 1. 7. [규방공예 시작하기] 규방공예 천 선택하기, 한복원단의 종류 [규방공예에서 사용하는 천(원단)의 종류] 규방공예에서는 기본적으로 한복천을 사용한다. 옷이나 이불을 만들고 남은 조각천을 사용해서 만드는 조각보(보자기)가 주를 이루기 때문이다. 지금부터 한복 천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본다. 1. 모시(얇은 마) 저마 줄기로 만드는 모시는 부드러우면서도 까슬까슬해서 여름 옷감으로 좋다. 홑보,겹보에 모두 사용한다. 2. 삼베 (두꺼운 마) 대마 줄기로 만드는 삼베는 모시에 비해 올이 거칠고 투박한 편이다. 주로 홑보에 사용한다. 3. 춘포 (견과 모시) 춘포는 견과 모시를 섞어서 짠 천으로 모시의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모시와는 다른 은은한 광택이 있다. 홑보와 겹보에 모두 사용한다. 4. 추포 (견과 대마) 추포는 견과 대마를 섞어서 짠 천으로 까칠까칠한 촉감때문에 여름.. 2019. 9. 20. [규방공예 시작하기] 규방공예에 꼭 필요한 기본 도구 [규방공예에 꼭 필요한 도구 알아보기] 새로운 취미를 시작하려고 하면 도구, 장비 욕심에서부터 시작한다. 장비가 좋은 작품에 영향을 주는 것도 사실이다. 규방공예 시작하기 전 규방공예에서 꼭 필요한 도구에 대해 먼저 알아본다. 1. 시접자 시접자는 3mm에서 10mm 단위까지 표시가 되어있어 시접을 두기 편하다. 완성선을 먼저 그린 뒤 완성선 바깥으로 시접선을 그리게 되는데 보의 종류에 따라 보통 홑보의 경우 3mm, 겹보의 경우 7mm을 시접을 둔다. 규방공예에서 사용하는 원단들은 일반 천보다 다루기 조심스럽고 까다롭다. 완성선과 시접선을 표시할 때도 대충 선을 그리기보다는 자를 대고 정확한 시접을 반듯하고 일정하게 그려주도록 한다. 2. 헤라 천을 접거나 시접선을 표시할 때 주로 사용한다. 송곳에 비.. 2019. 9. 20. 소소핸즈스토리 규방공예 이야기 나와 닮아있는 느린 바느질 나는 세상 돌아가는 속도와 맞지 않게 느린 사람이다. 옛 여인들이 작은 천조각들을 잇고 또 이어 한 땀 한 땀 바느질하는 규방공예는 내 삶의 속도와도 닮아있다. 쌈솔과 곱솔 같은 전통 바느질법은 손도 많이 간다. 나만의 감침질을 만들어가기까지는 무수한 시간을 지나야 한다. 나만의 속도로, 느려도 괜찮은, 천 한조각에 바늘 한 땀 이야기를 담은 소소핸즈스토리를 시작한다. 규방공예란? 규방은 옛 양반집 규수들이 주로 생활하던 여인들의 공간이다. 규방공예는 그 공간에서 피어난 공예의 한 장르를 말한다. 옛 여인들이 규방이라는 공간에 모여 한 땀 한 땀 손바느질로 다양한 생활 속의 용품들을 만들었다. 그 모든 용품들은 천연의 것에서 비롯된다. 규방공예는 단순히 침선, 바느질뿐만 아니라.. 2019. 9. 16. 이전 1 다음